2025년 소상공인 재기 지원 정책

2025년 소상공인 재기 지원 정책

 

이재명 정부(대통령 이재명)가 2025년 6월 19일 발표한 소상공인 재기 지원 정책은 코로나19 및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채무 부담 완화, 폐업·재창업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폭넓게 담고 있습니다. 주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상공인 재기 지원 정책
소상공인 재기 지원 정책


1. 채무 조정·원금 감면 확대 ☑️

  • 새출발기금 지원 대상 및 조건 완화
    • 총채무 1억원 이하, 중위소득 60% 이하(저소득층)인 무담보 차주 대상 확대 
  • 원금 감면율 최대 90%까지 상향 (기존 60~80%) 
  • 분할 상환 기간 연장: 기존 최대 10년에서 최대 20년으로 연장 
  • 소급 적용도 가능: 이미 기금을 이용했더라도 기준 충족 시 추가 감면 혜택 

이로써 10만1천 명의 저소득 소상공인이 약 6조 2천억원 규모의 채무에 대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장기연체채권 소각’ + ‘배드뱅크’ 설립 📉

  • 정부는 1조4천억원 규모의 '특별 채무조정 패키지' 예산을 편성 
  • 주요 구성:
    1. 장기 연체(7년 이상·5000만원 이하) 채권 매입 및 소각: 약 113만명 대상, 4000억원 규모 
    2. 새출발기금 확대: 원금 90% 감면 기준 확대 적용 (10만명 대상, 7000억원) 
    3. 성실회복 프로그램: 성실 상환자에 대한 장기 분할상환·우대금리 등 지원 (19만명 대상, 3000억원) 

이를 통해 ‘배드뱅크’ 역할을 수행하는 공적 기구가 형성되어, 금융 기관과 정부가 공동 부담하게 됩니다 


3. 폐업·재도전 지원

  • 희망리턴패키지: 폐업 소상공인 점포 철거비 상한 기존 400만원 → 600만원 상향 
  • 폐업 리스크 완화 및 채무 탕감·재창업 금융 연계 등을 통해 폐업→재기→취업까지 통합 지원 시스템 구축 

4. 지역경제 활성화 및 소비 촉진

  • 지역화폐 확대 발행: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집중 (지원 예산 6000억원, 총 발행 규모 29조원 확대)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 국민 15만~50만원 지급(기초수급자 50만, 일반 25만 등), 일부 지역은 추가 2만원 인센티브 
  • 기타 문화·에너지·임대료·인건비 등을 아우르는 3대 고정비 부담 완화 대책도 포함 

5. 플랫폼·수수료 규제 및 공정 거래

플랫폼 수수료 부담 완화, 온라인 간편결제 수수료 인하, 임대료 투명화, 키오스크 수수료 완화 등 플랫폼-소상공인 간 상생 질서 마련 


✅ 요약 테이블

지원 항목주요 내용
채무 감면 최대 90% 원금 탕감, 20년 분할상환, 1억 이하·저소득층 확대
연체 채권 소각 7년+ 연체·무담보 5000만 이하 채권 대상, 113만명, 4000억 규모
성실회복 프로그램 성실 상환자 대상 분할상환·우대금리 지원
폐업 지원 점포 철거비 600만원, 폐업→재창업→취업 통합 지원
소비 진작 및 지역 활성화 전 국민 소비쿠폰, 지역화폐 확대
플랫폼 규제·수수료 인하 공정 거래 기반 마련, 부담 완화
 

이 정책은 저소득·저채무 소상공인 10만 명, 장기 연체 113만명, 그리고 폐업 소상공인 등 총 약 143만명을 대상으로 1조 4천억 원 규모의 맞춤 지원을 실현합니다 이를 통해 단순 채무 탕감을 넘어 채무 구조 개선 → 재기 기반 마련 → 내수 활성화까지 이어지는 구조적 지원 선순환을 목표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