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급증! 살모넬라 감염증, 원인과 증상,예방법까지 총정리
2025년 7월 9일,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전국 병원급 의료기관 210곳의 표본 감시 결과, 살모넬라균 감염증 환자가 6월 첫 주 66명에서 넷째 주 127명으로 무려 92.4% 급증했습니다.
여름철 급속도로 증가하는 살모넬라 감염증, 무심코 넘기면 큰 탈이 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살모넬라균 감염증의 원인, 증상, 예방수칙, 생활 속 주의사항, 대처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살모넬라균이란?
**살모넬라(Salmonella)**는 세균성 장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균입니다.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되며, 가금류, 달걀, 육류, 유제품, 채소 등이 주요 감염 경로입니다.
📌 감염 경로 요약
- 덜 익힌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
- 오염된 조리기구 사용 (칼, 도마 등)
- 손 씻기 없이 조리 또는 식사
- 식중독 환자와의 접촉
🤒 주요 증상
감염 후 6~72시간 내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설명
복통 | 배꼽 주변 통증, 장 쥐는 듯한 느낌 |
설사 | 수양성 설사 또는 혈변 |
발열 | 38~40도 고열 |
구토 | 소화불량, 메스꺼움 동반 |
두통, 오한 | 전신 증상 동반 가능 |
※ 보통 4~7일 내 호전되지만, 노약자, 어린이, 면역저하자는 패혈증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렇게 감염된다! 생활 속 주요 감염 사례
🍳 1. 반숙 계란 또는 생달걀 요리
- 달걀 껍질에 살모넬라균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2. 덜 익힌 고기
- 특히 닭고기는 충분히 익혀야 안전합니다.
🧊 3. 냉장·냉동 보관 부주의
- 냉장 보관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살모넬라균이 증식합니다.
🧼 4. 손 씻기 소홀
- 조리 전, 화장실 사용 후, 외출 후 반드시 손 씻기!
🛡️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 음식은 중심온도 75℃ 이상, 1분 이상 가열 조리
- 달걀과 고기는 완전히 익히기
- 칼과 도마는 종류별로 구분해 사용
- 조리 전, 식사 전 30초 이상 손 씻기
- 날 음식과 익힌 음식은 별도로 보관
- 상온에 장시간 방치된 음식은 섭취 금지
- 식중독 발생 시 즉시 보건소나 병원에 신고
💊 감염 시 대처법
✅ 병원 진료 권장 대상
- 고열, 혈변, 탈수 증상 동반 시
- 어린이, 고령자, 만성질환자
- 증상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치료법
- 대부분 대증요법 (수분 공급 및 전해질 보충)
-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지만, 중증 환자에게는 투여
- 탈수 예방이 가장 중요 → 이온음료, 수분 섭취 충분히!
🔬 살모넬라균 vs 캄필로박터균 비교 정리
구분 살모넬라균 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 병원체 | Salmonella spp. | Campylobacter jejuni 등 |
🦠 감염원 | - 오염된 달걀, 육류(특히 닭), 유제품 - 오염된 물, 손 |
- 익히지 않은 닭고기 - 오염된 식수, 생유, 반려동물 |
⏰ 잠복기 | 6~72시간 | 2~5일 (보통 3일 전후) |
🤒 주요 증상 | - 복통, 설사, 발열, 구토 - 심한 경우 패혈증 발생 가능 |
- 복통(심한), 설사, 발열 - 드물게 관절염, 신경계 질환(길랭-바레 증후군) 가능 |
⏱️ 증상 지속 기간 | 4~7일 | 5~10일 |
🧑⚕️ 고위험군 | 어린이, 노약자, 면역저하자 | 면역저하자, 어린이 |
💊 치료 | 대부분 자연 회복 중증 시 항생제 사용 |
대부분 자연 회복 심한 경우 항생제 투여 |
🛡️ 예방법 | - 달걀, 육류 충분히 익히기 - 손 씻기 철저히 - 교차오염 방지 |
- 닭고기 완전 익히기 - 생고기와 조리도구 분리 사용 - 반려동물 접촉 후 손 씻기 |
✅ 공통점
- 음식물 및 물을 통한 감염
- 여름철 고온다습한 날씨에 급증
- 위생 관리 미흡 시 감염 확산
- 주로 자가치료 가능, 탈수 예방 중요
❗ 차이점 요약
항목 살모넬라 캄필로박터
잠복기 | 짧음 (수시간~3일) | 비교적 김 (2~5일) |
증상 | 고열, 설사, 복통, 패혈증 가능 | 복통이 더 심함, 신경계 합병증 가능 |
주요 식품 | 달걀, 닭, 돼지고기 등 | 닭고기, 생유, 오염된 물 |
기타 | 대규모 집단 식중독 유발 많음 | 반려동물 통해서도 전염 가능 |
📢 마무리: 여름철 식중독 주의보!
질병관리청의 통계처럼 여름철에는 살모넬라균이 기하급수적으로 증식합니다. 조금만 방심해도 감염될 수 있는 만큼, 개인 위생과 음식 위생 관리에 철저히 신경 써야 합니다.
👉 오늘부터 조리도구 살균, 손 씻기 습관, 음식 완전 익히기 꼭 실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