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민생회복지원금의 지급 기준·차등 기준·금액, 지급 배경 및 예산 집행 방식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1. 대상 & 지급 방식 🧾

  • 전 국민 보편 지급이 기본 원칙입니다
  • 하지만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어요
  • 지급 수단은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또는 소비 쿠폰 형태로, 비수도권 할인폭을 확대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2. 소득별 차등 지급 금액

  1. 기본 금액 (전 국민)
    • 1인당 25만 원 지급이 기본 안으로 제시됨 
  2. 취약 계층 추가 지급
    • 기초생활수급자: 추가 지원 포함 최대 50만 원 
    •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가정: 추가 포함 40만 원 소득 상위 10%
    • 일부 안에서는 이들에게는 15만 원 지급하거나 제외하는 방안도 거론 중 2차 지급 방식
    • 1차로 기본액 지급
    • 2차로 하위 90% 대상 10만 원 추가 지급 검토 중
      → 일반 국민은 총 25만 원, 취약계층 최대 50만 원 수령 예상 

지급 요약 표

계층1차 지급2차 추가최종 총액
일반 국민 15만 원 10만 원 25만 원
차상위계층·한부모가정 30만 원 10만 원 4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 40만 원 10만 원 50만 원
소득 상위 10% (안 검토 중) 15만 원 0원 또는 15만 원? 15만 원 수준
 

3. 지급 취지 및 예산 규모

  • 목적: 경기 침체 대응 및 내수 활성화, 동시에 취약 계층 지원 강화 
  • 코로나 이후의 가장 큰 규모 국민지원으로 민생 회복의 ‘마중물’ 역할 기대 
  • 그러나 재정 건전성, 포퓰리즘 비판 등이 고려되어 소득별 차등 지급 방향으로 조정되는 중입니다 

4. 예산 규모 및 집행 방식

  • 2차 추경 규모는 약 20조 원으로 편성될 예정이며,
    *1차 추경(13조 원)*을 포함하면 총추경은 35조 원 내외 
  • 지급 방식:
    • 지역화폐 할인 발행 예산 확대 포함.
      1차 추경에서 4천억 원→2차에서 확대 배정될 가능성 있음 
    • 지방예산 보전: 세입 경정 시 지방교부세는 유지됨 

5. 집행 일정

  • 국무회의 상정 및 의결: 6월 19일 예정 
  • 국회 심사 후: 이르면 6월 말 또는 7월 초 집행 개시 예상 
  • 집행 방식: 지역화폐(쿠폰) 방식으로, 사용처 제한과 지역 내 소비 유도 포함

✅ 정리 결론

  • 전 국민에게 지역화폐/소비쿠폰 형태로 지급,
    • 기본 25만 원,
    • 차상위·한부모 40만 원,
    • 기초수급자 50만 원,
    • 소득 상위 10%는 축소(15만 원) 또는 제외될 가능성 있습니다.
  • 총 예산 20조 원·소비 쿠폰 중심, 1차 추경 포함 시 35조 원 규모,
  • 6월 말~7월 초 지급 개시 목표,
  • 경기 부양과 취약층 보호 목적이고, 재정 건전성과 형평성 반영 위해 차등 지급 안을 도입했습니다.